1. Helm이란 무엇인가? ⭕
Helm = Kubernetes의 패키지 관리자
리눅스에서 apt, yum이 있듯이, Kubernetes에는 Helm이 있습니다.
반복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YAML 파일을 하나의 패키지(Chart)로 묶어 쉽게 배포/관리할 수 있습니다.
왜 필요한가?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는 수십 개 이상의 서비스가 배포됩니다.
수많은 Deployment, Service, ConfigMap을 일일이 관리하기 어렵습니다.
Helm Chart로 정의해두면, helm install 한 줄로 배포가 끝납니다. ✅
➡️ 따라서 Helm은 Kubernetes 운영자에게 있어 사실상 필수 도구입니다.
2. Windows 환경에서 Helm 설치 ⚡
(1) Chocolatey를 통한 설치
Helm을 Windows에서 설치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패키지 매니저 Chocolatey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choco install kubernetes-helm
choco가 없다면, Chocolatey 공식 사이트에서 먼저 설치하세요.
설치 후 버전을 확인합니다:
helm version
➡️ 정상적으로 설치되면 Helm의 클라이언트 버전이 출력됩니다.
(2) Scoop을 통한 설치 (대안)
만약 Chocolatey를 쓰지 않는다면, Scoop으로도 설치할 수 있습니다.
scoop install helm
⚠️ 단, Scoop은 사전에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3) 수동 설치 방법
Helm GitHub Release 페이지에서 최신 Windows zip 파일 다운로드
압축 해제 후 helm.exe 파일을 원하는 경로에 복사
환경 변수 PATH에 해당 경로 추가
⭕ 이 방식은 인터넷 제한 환경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3. kubectl과 Helm 연동 확인 ✅
Helm은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Kubernetes 클러스터에 연결된 kubectl과 함께 동작합니다.
현재 클러스터 연결 확인:
kubectl config get-contexts
Helm 설치 테스트:
helm repo add stable https://charts.helm.sh/stable helm repo update
샘플 애플리케이션 설치:
helm install my-nginx stable/nginx-ingress
➡️ 이렇게 하면 Nginx Ingress Controller가 Kubernetes에 배포됩니다.
⚠️ 이 과정에서 Error: Kubernetes cluster unreachable 오류가 뜨면, kubectl이 정상적으로 클러스터와 연결되어 있는지 다시 확인하세요.
4. 설치 후 자주 쓰는 Helm CLI 명령어 ⭕
설치된 릴리스 확인
helm list
배포 이력 확인
helm history my-nginx
업데이트
helm upgrade my-nginx stable/nginx-ingress
롤백
helm rollback my-nginx 1
➡️ 이 네 가지 명령어만 알아도 실무 운영에서 80% 이상은 커버할 수 있습니다.
5. 실무 경험에서 오는 팁 ⚡
버전 관리: 팀 내에서 동일한 Helm 버전을 사용하세요. 버전 차이로 인한 충돌이 종종 발생합니다.
Chart Repository: 기업 내부 레지스트리를 두고 공통 차트를 관리하면 협업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Values 분리: 운영, 개발, 스테이징 환경별로 values.yaml을 나눠두면 실수 방지에 좋습니다.
6. WSL2 + Ubuntu 환경
Ubuntu 패키지 매니저(apt) 또는 tar.gz 압축 파일을 통해 설치
예시 (Ubuntu):
cur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elm/helm/main/scripts/get-helm-3 | bash
설치 후 확인:
helm version
추천
쿠버네티스 실습을 많이 할 예정이라면 WSL2 + Ubuntu 설치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이유는 대부분의 Helm 공식 문서, 오픈소스 예제가 리눅스 기준이기 때문이에요.
PowerShell 기반으로도 충분히 가능하지만, 학습과 실무 이식성을 고려하면 Ubuntu 환경이 더 유리합니다. ✅
✅ 핵심 정리
Helm은 Kubernetes의 패키지 관리자이며, 반복적인 리소스 정의를 효율화한다.
Windows 환경에서는 Chocolatey, Scoop, 또는 수동 설치 방식으로 쉽게 설치 가능하다.
설치 후에는 kubectl과 연결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helm install, helm upgrade, helm history, helm rollback, helm list 등 핵심 명령어를 익혀야 한다.
댓글 ( 0)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