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로 쿠버네티스 설치는 이제 비추천
예전에는 Docker 위에 직접 쿠버네티스를 설치하는 방식이 흔했습니다.
하지만 Kubernetes 1.24 버전부터 dockershim이 공식 제거되면서, Docker는 더 이상 쿠버네티스의 기본 컨테이너 런타임이 아닙니다.
❌ Docker 기반 설치의 문제점
비표준 런타임: 쿠버네티스는 CRI(Container Runtime Interface)를 따르는 런타임만 지원하는데, Docker는 CRI 표준을 직접 구현하지 않습니다.
비효율적인 계층 구조: Docker를 사용할 경우 kubelet → dockershim → Docker → containerd의 복잡한 계층이 생깁니다.
유지보수 중단: dockershim이 제거되면서 Docker를 런타임으로 쓰는 구성은 더 이상 공식적으로 지원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Docker로 쿠버네티스를 직접 설치하는 것은 현재 기준으로 비권장입니다.
✅ 실무 표준: containerd 기반 쿠버네티스 설치
현재 실무에서는 containerd 또는 CRI-O를 런타임으로 사용하는 것이 표준입니다. 이 구조는 가볍고, 성능이 좋으며, 쿠버네티스와 완벽히 호환됩니다.
운영·테스트 서버에서의 일반적인 설치 방법
환경사용 도구특징
직접 구축형(On-Premise)kubeadm, k3s제어권 100%, 네트워크/스토리지 구성 자유로움
클라우드 관리형EKS (AWS), GKE (Google), AKS (Azure)운영 자동화, 고가용성, 유지보수 간편
containerd 기반 구조의 장점
Kubernetes 표준 런타임으로 완전 호환
경량성과 속도 향상 (Docker보다 레이어 단축)
유지보수 용이, 보안성 강화
✅ kubeadm / k3s / EKS 등 실무 설치 패턴 요약
1️⃣ kubeadm
가장 기본적이고 전통적인 설치 방식으로, 직접 서버에 쿠버네티스를 구성할 때 사용합니다.
sudo apt install -y containerd sudo systemctl enable --now containerd sudo kubeadm init --pod-network-cidr=10.244.0.0/16
세밀한 제어 가능
확장성과 커스터마이징이 용이
2️⃣ k3s
Rancher Labs에서 만든 경량형 쿠버네티스 배포판으로, 테스트나 엣지(Edge) 환경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curl -sfL https://get.k3s.io | sh -
containerd 내장
단일 바이너리로 간편 설치 가능
3️⃣ EKS / GKE / AKS
클라우드 벤더가 관리하는 Managed Kubernetes 서비스로, 인프라 관리 부담이 거의 없습니다.
자동 업그레이드, 고가용성 기본 제공
운영 효율성 극대화
✅ 결론
항목Docker 기반containerd 기반
상태❌ 구식 (dockershim 제거됨)✅ 표준 (실무 권장)
런타임Docker Enginecontainerd / CRI-O
실무 적용거의 사용 안 함대부분 이 방식
예시예전 도커 기반 클러스터kubeadm / k3s / EKS 등
✅ 정리
2025년 현재, 실무에서 쿠버네티스는 containerd 기반으로 설치하는 것이 표준입니다.
개발·테스트용은 kind나 minikube,
운영·테스트 서버는 kubeadm, k3s, 혹은 EKS/GKE/AKS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댓글 ( 0)
댓글 남기기